평소 아침마다 할 일이 없으면 뭐라도 하고 싶어서 자기계발의 명목으로 책읽기를 하곤 한다. 이런저런 책을 읽으면서 그래도 나는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것 보단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 문득 자기계발에 너무 치여서 힘든 나머지 아침에 책읽기를 쉬게 된 날이 있다. 그런데 자기계발을 안 하니 불안할 줄 알았지만 의외로 일할 때도 더 편했고 저녁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날 자기계발에서 중요한 이론 하나를 깨달아서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전에 질문을 하나 드려보고 싶다. 시간관리를 어떻게 해야할까? 사실 이전에도 시간관리와 관련하여 많이 고민해보았다. 여러 가지 기술도 익혀보고 타이머도 사용해보았다. 그러나 쉽지 않았고 우연히 뇌를 효율적으로 쓰는 칼럼을 하나 읽게 된다. 생각보다 어려운 내용이었고 100퍼센트 이해하진 못했지만, 이때 읽은 칼럼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순 있다.
뇌라는 것은 무작정 시간만 많이 투자한다고 투자대비 효율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 쓸 수 있는 뇌의 에너지가 정해져 있고 이 에너지를 쓰면 쓸수록 뇌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요한 업무는 뇌의 에너지가 가득 찬 상태인 일어나자마자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러다. 문득. 이걸 시간관리에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하루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는 정해져 있으니 시간관리를 위해 무작정 자기계발 시간을 늘리기만 하는 게 아니라 질적인 측면을 고민해보기 시작했다. 즉, 자기계발 시간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에너지를 사용할 것인지를 생각해보기 시작했다. 먼저 나의 에너지를 잡아먹는 게임을 없애고 강박적으로 자기계발하는 시간에 휴식 시간을 추가해봤다. 또, 뇌가 과부하 걸리는 느낌을 받을 때면 잠시 멈추고 다른 일을 하기도 해 보았다. 이렇게 '시간'이 아닌 '에너지'에 중점을 주며 자기계발에 몰두해봤고 체감상 1.5에서 2배가량 효율이 늘어난 것 같다.
나는 이 이론을 '에너지 이론'이라 이름 붙였다. 시간 관리를 하기 위해선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려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시간이 아닌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사실만 알면 자기계발 하는 데 정말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자기계발을 하는 분들에게는 이 이론을 사용해보길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요약
1.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은 자기계발에 필요하다.
2. 그러나 무작정 자기계발 시간만 늘리면 뇌가 견디지 못한다.
3. 따라서 시간 관리가 아니라 에너지를 관리해야한다.(에너지 이론)
사실 이는 자기계발에만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그저 내가 자기계발을 하다 깨달은 내용이라 자기계발을 초점으로 사용하는 법을 설명한 것이다. 업무를 한다면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고 공부한다면 공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삶에 전반적인 부분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도 있을 거라 생각한다. 다른 분야에서도 큰 영향이 있다면 나에게 댓글로 남겨주길 바란다.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짧은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을 바꾸는 28가지 명언 - 피터의 법칙 (1) | 2023.05.08 |
---|---|
과거로 돌아간다면 해줄법한 말 7가지 (인생 조언) (0) | 2023.01.30 |
유튜브를 통한 시간낭비를 단박에 없앤 저만의 비결을 공개합니다. (0) | 2022.06.20 |
빠르게 책을 읽는 4가지 방법(부제 : 속독법에 대해) (0) | 2022.05.30 |
어떻게 돈을 써야 할까? 현명하게 소비하는 습관 5가지 (0) | 2022.05.23 |